gettingstarted |
Figure: WIZ752SR-125 V1.0 패키지 |
---|
WIZ752SR-125 보드는 별도의 악세사리 없이 모듈 단품만 판매합니다.
개발보드 별 패키지 구성품의 전체 항목은 WIZ752SR-125 Overview: Product Contents 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.
네트워크 설정 | 장치 | IP 주소 | 192.168.11.2 | - |
---|---|---|---|---|
Gateway 주소 | 192.168.11.1 | - | ||
Subnet mask | 255.255.255.0 | - | ||
DNS 서버 주소 | 8.8.8.8 | Google Public DNS | ||
Port0 번호 | 5000 | - | ||
Port1 번호 | 5001 | - | ||
목적지 | IP 주소 | 192.168.11.3 | - | |
Port0 번호 | 5000 | - | ||
Port1 번호 | 5001 | - |
시리얼 포트 설정 | RS-232C-1 | 115200-8-N-1 / Flow Control: None | - |
---|---|---|---|
RS-232C-2 | 115200-8-N-1 / Flow Control: None | - |
사용자 I/O 설정 | UserIO A | Analog / Input | Read only |
---|---|---|---|
UserIO B | Digital / Input | Read only | |
UserIO C | Digital / Output | Read / Write | |
UserIO D | Digital / Output | Read / Write |
WIZ752SR-125의 설정을 위한 PC 혹은 노트북(laptop)은 동일한 이더넷 네트워크 대역에 위치하여야 서로 통신이 가능합니다.
* WIZ752SR-125의 설정이 공장 초기화 값일 때, PC의 설정 예
네트워크 설정 | PC or laptop (= 목적지) | IP 주소 | 192.168.11.3 | - |
---|---|---|---|---|
Gateway 주소 | 192.168.11.1 | - | ||
Subnet mask | 255.255.255.0 | - | ||
Port0 번호 | 5000 | - |
WIZ752SR-125-EVB는 DB9 커넥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시리얼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. 따라서 PC를 이용한 초기 제품 테스트의 경우, 이더넷 및 시리얼 포트를 모두 PC와 연결하여 테스트 하도록 가이드 하고 있습니다. 만약 PC에 시리얼 포트가 없는 경우는 시중에 판매 중인 RS-232 to USB 컨버터(*별매)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WIZ752SR-125 모듈과 케이블을 다음과 같이 연결합니다.
gettingstarted |
Figure: WIZ752SR-125 모듈과 개발보드 결합 |
---|
5V 전원 어댑터를 개발보드에 연결하고 파워 스위치를 On 합니다..
PC의 Configuration tool을 실행하여 상단 Search 버튼을 클릭합니다. 보드에 전원이 인가되고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동작 중인 경우 WIZ752SR-120 모듈의 MAC 주소와 설정 값을 tool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사용자 환경에 맞춰 제품의 설정 값을 변경합니다. 본 Step에서는 제품의 공장 초기화 설정을 기반으로 초기 테스트를 수행합니다.
PC를 사용자 시리얼 장치 및 TCP 클라이언트로 삼아 데이터 통신을 테스트하기 위한 연결을 수행합니다. 이를 위해 PC에서 시리얼 터미널 프로그램 및 TCP 클라이언트 터미널 프로그램이 실행 되어야 합니다. 공장 초기값 기준으로 PC와 장치를 연결하기 위해 각각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설정 후 연결하면 됩니다.
시리얼 터미널 프로그램을 연결하기 위한 COM 포트는 Windows 제어판 > 장치 관리자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아래와 같은 데이터 통신 과정이 올바르게 수행되면, WIZ752SR-125 제품의 기본적인 데이터 전송 기능 검증이 완료됩니다.
이제 WIZ752SR-125 제품을 활용할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!
동작에 문제가 있나요?
Troubleshooting 가이드 문서를 참고해 보세요!